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IP/도메인/포트

by supernovaMK 2024. 8. 20.

IP주소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컴퓨터를 구분하는 유일한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

 

4바이트로 이뤄진 고유한 값으로 사람이 알아보기 쉽게 1바이트씩 10진수로 나타낸 총 10진수 4개의 숫자로 구성된다.

 

IPv4,IPv6 두가지가 있으며 기존에 사용하던 것이 4버전이고 점차 많아지자,16바이트로 확장된 주소 체계이다.

 

루프백 주소(localhost): 127.0.0.1은 루프백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로, 어떤 컴퓨터에서든 항상 자기 자신을 가리킵니다. 즉, 127.0.0.1로 보내는 모든 트래픽은 해당 컴퓨터 내에서만 처리되며,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지 않습니다.

 

도메인 네임이란

 

IP 주소를 문자열로 변환한 것으로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흔히 도메인으로 불린다.

 

DNS

 

DNS란 도메인과 IP주소의 매핑 정보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도메인 주소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웹  브라우져에서 이를 DNS 서버에 보내서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주소를 받아오게 된다.

일반 사용자는 DNS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인 ISP 제공하는 정보를 받아서 사용한다.

 

DNS 서버의 계층 구조

 

DNS 서버는 도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계층 구조로 분산해 저장한다.

 

각 계층 마다 DNS서버를 따로 두어 이를 관리하는 것이다.

 

루트 도메인 - 최상위 레벨 도메인-2레벨 도메인-3레벨 도메인 순으로 이루어진다.

닷(.)으로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com.google.www 로 이뤄지게 되어 루트 도메인인 맨 앞 . 에서부터 하위 계층 서버의 IP로 이동하며 최종 IP주소를 넘겨주게 된다.

 

포트와 포트 번호

여러 프로그램이 동작중인 서버에 가서 원하는 프로그램에 접속하기 위해서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찾아가게 된다.

주로 웹 서비스를 사용은 80 번호로 이동하여 사용하게 된다.기본적으로 http에 접속하게 되면 80번 포트로 사용하게 되고 , HTTPS 로 접속하게 된다면 443포트에 접속하게 된다. 흔히 우리가 http://localhost:8080에 접속하는 것이 8080포트에 접속하는 과정이였던 것이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  (0)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