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P (1)
프로그래밍 방식은 크게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나눌 수 있다.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절차를 지향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실행 순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따르며 처리하는 방식이다. 즉, "어떻게"를 중심으로 프로 그래밍 한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객체를 지향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객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제 세계의 사물이나 사건을 객체로 보고, 이러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 로그래밍하는 방식이다.
즉, "무엇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
절차 지향은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에 대한 처리 방식이 분리되어 있다. 반면 객체 지향에서는 데이터와 그 데이터 에 대한 행동(메서드)이 하나의 '객체' 안에 함께 포함되어 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서로 대치되는 개념이 아니다. 객체 지향이라도 프로그램의 작동 순서 는 중요하다. 다만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추는가에 둘의 차이가 있다. 객체 지향의 경우 객체의 설계와 관계를 중시한다.
반면 절차 지향의 경우 데이터와 기능이 분리되어 있고, 프로그램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순서에 초점을 맞춘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모든 사물을 속성과 기능을 가진 객체로 생각하는 것이다. 객체에는 속성과 기능만 존재한다. 이렇게 단순화하면 세상에 있는 객체들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런 장점들 덕분에 지금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참고로 실세계와 객체가 항상 1:1로 매칭되는 것은 아니다.